1. 쿠키 & 세션 사용 이유
HTTP 프로토콜의 특성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
* HTTP 프로토콜의 특징
- Connectionless (비연결성)
HTT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하고 연결을 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참고 :
HTTP1.1 버전에서 Connection 헤더에 keep-alive라고 설정하면 컨넥션을 유지하고, 요청에 재활용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기본 옵션)
HTTP가 TCP위에서 구현되었기 때문에(TCP : 연결 지향, UDP : 비연결 지향) 연결 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어 논란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네트워크 관점에서 keep-alive는 옵션으로 두고, 서버 측에서 비연결 지향적인 특성으로 커넥션 관리에 대한 비용을 줄이는 것이 명확한 장점으로 보기 때문에 비연결 지향으로 알아두었다.
- Stateless(상태 정보 유지 안 함)
HTTP 통신은 연결을 끊는 순간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이 끝나며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클라이언트와 첫 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았다 해도, 두 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쿠키와 세션은 HTTP 프로토콜이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이다.
http의 비연결성과 무상태성의 특징으로 인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기억해야한다.
이를 위해 HTTP가 선택한 수단이 쿠키와 세션이다.
통신이 끊어지면 상태정보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로그인을 다시 하거나, 상품 선택 후 구매 페이지에서 선택한 상품의 정보가 사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쿠키(Cookie)란?
웹 사이트에 접속 시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되는 정보이다.
웹 사이트는 이렇게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클라이언트 측의 컴퓨터에 남겨서, 필요할 때마다 재사용한다.
사용자의 컴퓨터에 마치 과자 부스러기가 남아있는 것과 같다고 해서 쿠키라는 명칭이 붙었다.
* 쿠키의 특징
1. 이름, 값, 만료일(저장 기간), 경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2. 클라이언트에 총 300개의 쿠키를 저장할 수 있다.
3. 하나의 도메인 당 20개의 쿠키를 가질 수 있다.
4. 하나의 쿠키는 4KB까지 저장 가능하다.
* 쿠키의 동작 순서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한다.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근)
2. 웹 서버는 쿠키를 생성한다.
3. 생성한 쿠키에 정보를 담아 HTTP 화면을 돌려줄 때, 같이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준다.
4. 넘겨받은 쿠키는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다가(로컬 PC 저장) 다시 서버에 요청할 때 요청과 함께 쿠키를 전송한다.
5. 동일 사이트 재방문 시 클라이언트의 PC에 해당 쿠키가 있는 경우, 요청 페이지와 함께 쿠키를 전송한다.
* 쿠키의 사용 예시
1. 방문 사이트 로그인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까?'
2. 팝업참에서 '오늘 이 창을 다시 보지 않기' 체크
2. 세션(Session)이란?
웹 사이트의 여러 페이지에 걸쳐 사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닫아 서버와의 연결을 끝내는 시점까지를 세션이라고 한다.
* 세션의 특징
1. 웹 서버에 웹 컨테이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2. 브라우저를 닫거나,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했을 때만 삭제가 되므로, 쿠키보다 보안이 좋다.
3. 서버 용량이 허용하는 한에서 저장 데이터에 제한이 없다.
4. 각 클라이언트에 고유 Session ID를 부여한다. Session ID로 클라이언트를 구분해 각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세션의 동작 순서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한다.
2. 서버는 접근한 클라이언트의 Request-Header 필드인 Cookie를 확인하여,
클라이언트가 해당 session-id를 보냈는지 확인한다.
3. session-id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버는 session-id를 생성해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준다.
4.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받은 session-id를 쿠키에 저장한다.
5.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시 이 쿠키의 session-id 값을 같이 서버에 전달한다.
6. 서버는 전달받은 session-id로 session에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요청을 처리 후 응답한다.
* 세션의 사용 예시
1. 화면을 이동해도 로그인이 풀리지 않고 로그아웃하기 전까지 유지
* 쿠키와 세션 비교
쿠키 (Cookie) | 세션 (Session) | |
저장 위치 | 클라이언트(=접속자PC) | 웹 서버 |
저장 형식 | text | object |
만료 시점 | 쿠키 저장시 설정 (브라우저 종료시에도 만료시점이 지나지 않으면 삭제X) |
브라우저 종료시 삭제 (기간 지정 가능) |
사용 자원(리소스) | 클라이언트 리소스 | 웹 서버 리소스 |
용량 제한 | 총 300개 하나의 도메인당 20개 하나의 쿠키당 4KB |
서버가 허용하는 한 용량 제한X |
속도 | 빠름 | 느림 |
보안 | 안 좋음 | 좋음 |
참고:
https://www.tcpschool.com/php/php_cookieSession_session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
tcpschool.com
'IT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OSI 7계층, TCP/IP 4계층 (5) | 2025.01.08 |
---|---|
#7) HTTP 메서드 / GET과 POST의 차이점 (15) | 2025.01.07 |
#5) TCP 3 Way-Handshake & 4 Way-Handshake (2) | 2025.01.05 |
#4) HTTP와 HTTPS의 차이점 (2) | 2025.01.05 |
#3) TCP와 UDP의 차이점 (1) | 2025.01.05 |